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
Close

조달청개요

공유하기 링크복사 출력하기

조달청 개요

  • 물품 구매·공급 및 공사계약 관리
    • 공공기관이 필요로 하는 물품(용역) 및 공공시설물을 국내ㆍ외 에서 조달ㆍ공급(’24년 물품용역 약 43조원, 시설공사 약 27조원)
    • 고객이 원하는 시설공사 Total Service 제공 및 대형공사 총사업비 검토 등 조달지원사업 수행(‘24년 약 29조)
  • 주요 원자재 비축사업 운영
    • 원자재의 국내 수급 안정을 위해 알루미늄 등 주요 원자재의 적기 비축ㆍ방출(‘24년 약 8천억원)
  • 정부물품 및 국유재산 관리
    • 약 26조 5천억원 상당(1,678만점)의 정부보유 물품 관리
    • 국유재산의 활용도 제고를 위하여 국유재산 관리
      * 공공용 토지 비축, 공공기관의 국유재산 관리 상황 점검 및 감사 등
  • 나라장터(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)운영 관리
    • 공공기관 입찰정보 통합공고 등 공공전자조달 단일창구(Single Window) 역할 수행
      * 7만 1천여 공공기관과 60만여 조달업체가 이용

조달청은 중앙조달을 통하여 이런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.

  •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를 구축합니다.
    • ‘19년부터 공공이 혁신제품을 선도적으로 구매하여 기업의 혁신성장*과 공공서비스 개선을 지원하는 ‘혁신조달제도’ 운영하고 있습니다.
    • 기업애로 해소를 위해 기업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는 ‘공공조달 길잡이’를 도입(‘24.3월~)하여 149개사가 조달시장 진입에 성공(’25.5월 기준)하였으며, 기업 현장규제 혁신을 위해 ‘현장목소리 책임이행TF’ 운영(‘24.2월~)하고 있습니다.
  • 투명·공정하고 원칙이 바로 선 조달시장을 조성합니다.
    • 불공정행위 척결을 위해 「불공정조달행위 관리·감독 개선 방안」마련(‘23.4월)하여, 불공정신고센터 익명채널 개설(‘23.5월) 등 감시체계를 강화하고, 국세청세금계산서 등 유관기관에 정보요구권 신설(’24.9월)하여 조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.
    • ‘공정평가관리팀’ 신설(‘23.6월), ’평가위원 3중관리시스템‘ 도입(’24.5월) 등 공정평가 기반을 확립하였으며, 대형 건설사업, SW사업 등의 계약자 선정 심의과정을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온라인 유튜브 생중계를 실시(‘24.6월~)하고 있습니다.
  • 공공비축을 통한 공급망 위기에 대응합니다.
    • 수급 불안시 가격 안정 및 중소기업 지원을 도모하고, 글로벌공급망 위기 대비를 위해 비철금속 6종 비축 확대하였습니다.
    • 마스크·요소수 사태를 계기로 금속자원 외에 국민생활·경제안보와 밀접한 품목을 신규 비축하여 비축 다변화를 실시하였습니다.
  •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하여 사용자 편의를 제고하였습니다.
    • 클라우드 도입, 인증수단 다양화 등 안정성과 편의성을 크게 높인 ’차세대 나라장터‘를 구축(’21.6~‘25.3월)하여 본격적으로 운영중에 있습니다.
  • 담당부서 : 혁신행정담당관
  • 042-724-7049